나는 원래 인간이 좀 촌스러워서, 특정 날짜에 대한 반응이 즉각적이고 직접적이다. 언제부턴가 일종의 습관이 되어버려서, 꼭 의식하고 있지 않더라도 즈음이 되면 절로 시선에 밟히는 것들이 있고 왜 그럴까 생각해보면 곧 때가 다가오는구나 자각하게 된다. 게다가 살짝 기념주의자이기도 해서, 혼자서라도 뻘짓거리를 하고 넘어가야 스스로 불편하지가 않다.
문득 책장에 꽂힌 '윤상원'에 눈길이 멎은 게 보름쯤 전. 그렇구나, 다시 5월이구나. 5월은 참 바쁜 달이다. 이래저래 이름 붙은 날들이 많은, 자식 없는 무학의 고아가 아닌 다음에야 완전히 피해갈 수 없는 기념일 과잉의 달. 와중에 백화점이니 할인마트는 각종 선물세트 팔아먹기 바쁘고, 평소에 잊고 지내던 감사의 마음을 표하는 게 나쁠 리는 없건만 그래도 아주 마땅치는 않다.
물론 나 역시 '5월'이라는 말에 가장 먼저 '그 날이 다시 오면'이 떠오르지는 않는다. 돌이켜보면 사실 대학시절 이미 '5월 광주'는 금기라기보다 무심히 잊혀진 사건이었다. 희생자들이 명예회복되고 생존 피해자들이 배상을 받고 국가적으로 기념하는 '공식 역사로 등재'된 후에는 4.19만큼이나 박제화되어 멀어져버린 것도 같다. 국립묘지로 단장한 신묘역의 번드르르함 만큼이나 광주는 더 이상 아프고 통절한 무엇이 아니라, 때가 되면 되새기며 '지금의 민주화'를 지키기 위해 전범 삼아야 할 기념의 대상이 되어버렸다. 그러니까, 내가 할 말은 아니지만 광주는 너무 이르게 '해치워버린' 사건인 것 같다.
강풀이 만화를 그리고 누군가는 영화도 만들고 책이야 무수히 쏟아져 나왔지만, 광주의 진실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나는 잘 모르겠다. 그때까지만 해도 모두가 우방이라고 믿고 있었던 미국의 실체를 드러냈다는 것, 단지 폭도들이라고 매도 당한 광주 시민들이 열흘 간 만들어냈다는 아름다운 공동체의 재현을 강조하는 것, 총칼로 무차별학살을 자행한 군부에 저항한 시민들의 민주 염원이 만들어낸 시대정신을 기억하는 것, ...
무어라고 해석한다고 해도, 어쩐지 우리 모두가 '5월 광주'를 너무 떨이로 해치워버린 건 아닌가 싶은 생각을 지울 수 없다. 물론 역사의 무게에 가위 눌려 모두가 우울한 낯빛을 하고 희생자를 추모하는 뭐 그런 걸 생각하는 건 아니다. 하지만 이미 갈 데까지 간 정치인들이 하나같이 4.19세대 운운하며 민주를 향한 투쟁의 역사를 외투 삼아온 현실을 생각하면, 말 많은 '386'을 넘어 이제 너도 나도 '5월 광주'의 적자임을 내세우는 역겨운 꼴을 보게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책을 읽으면서 소위 특수공공법인이라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로부터 기념되는 혁명과 인물들에 대해, 아니 그들의 기념 관점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가지는 것이 옳은가에 대한 쓰잘데기 없는 의문이 가시지 않았는데... 더 이상 파헤칠 묻혀진 진실의 가능성이 없다고 믿겨지는, 공공의 기념이 가리는 무언가가 여전히 남아있지 않을까. 명예회복과 배상을 통한 공식화 속에서, 목격자들이 할 말을 잃고 희생자들이 입을 다물어야 하는 것이 만약 광주의 현재라면, 결국 그냥 그런 안타까운 사건이 있었다는 사실만이 남게 되는 건 아닐까 주제넘는 걱정이 들기도 한다.
음... 책은, 대학시절 마일드한 필독서 몇 권의 저자였던 김진경 선생이 '솔'이라는 고등학생에게 쓰는 편지 형식으로 구성되어있다. 한참 지난 역사적 사건을 시시콜콜 전달하고자 하는 게 아니라, 사람이 무엇으로 사는지 사람은 무엇으로 사람일 수 있는지를 이야기하고 싶다고 서두에 밝히고 있다. 그리고 아주 쉽고 친절하게, 물론 동세대로 '광주'를 겪은 저자의 심사야 간단치 않았겠지만 참으로 담담하게 서술된다.
지난 주 이래저래 받는 뉴스레터들에서 같은 시를 몇 번이나 마주쳤다. 찬사 일색의, 심지어 어느 뉴스싸이트에서는 오월 광주가 소녀 천재시인을 낳았다며 호들갑을 떨어대는 기사를 마주치기도 했다. '그 날'이라는 제목의, 질펀하게 전라도 사투리를 구사하는 그 짧은 시는 아무 것도 모르는 내가 보기에도 탁월한 시적 형상화에 성공한 작품인 듯 했다. 그런데, 솔직히 말하자면 겪지 않고도 그리 선하게 그려내는 게 오히려 무섭고 이상했다. 그리고 나 역시 80년 5월의 광주에 대해 어떤 직접적 체험도 없으면서 선험적 고통의 근원이라도 되는 듯 무겁게 반응하는 게 오히려 의심스럽기도 하다.
황석영의 책을 다시 집어드는 건 솔직히 감당할 자신이 없었고, 언제 사놓았는지 기억에도 없는 얇은 책이 하나 있었다. 하얀 바탕의 매끈한 표지, 한 시간 남짓이면 다 읽어버릴 수 있는 초박형 두께, 물론 중간중간 저릿한 느낌이 없지야 않았지만 책장을 덮고 나도 별 감흥(?)이 없다. 2007년 나의 광주, 어쩌면 2007년 우리 모두의 광주가 지금 이런 모습은 아닌가 싶다. 부담없고, 깔끔하고, 그리고 여운이 없는. 올해는 그렇게 지나버렸다. 안전한 기념으로 머물지 않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찾는 것조차 좀 부끄럽고 무안하다.
2007-05-21 00:55, 알라딘
5.18민중항쟁(역사다시읽기3)
카테고리
지은이
상세보기
'비밀같은바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과부도'의 추억 (0) | 2011.05.21 |
---|---|
뜨거운, 배반의 글쓰기 (0) | 2011.05.21 |
질문의 발견, 전염되는 '혁명' (0) | 2011.05.21 |
책장 너머로 '수유+너머' 엿보기 (0) | 2011.05.21 |
미더운 작가의 부지런한 두 손 (0) | 2011.05.21 |